본문 바로가기
육아 필수 정보

0~24개월 아기, 잠투정부터 새벽기상까지 수면 문제 대처법

by pangfind 2025. 7. 13.

 

아기가 잘 자지 않으면 부모의 하루는 무너져버려요.
특히 0~24개월 사이에는 수면 패턴이 계속 바뀌고, 어느 날은 갑자기 밤에 여러 번 깨는 일이 반복되기도 하죠.
그럴 때마다 “우리 아이만 그런가?” 하는 생각이 들곤 해요.
하지만 이 시기의 수면 문제는 대부분 발달과정 중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랍니다.
이 글에서는 생후 시기별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수면 문제들과, 집에서 실천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결법들을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지금 겪고 있는 수면 문제도, 알고 나면 훨씬 가볍게 느껴질 수 있어요.

 

1. 🌙 신생아(0~3개월) 시기의 낮밤 구분 안 되는 수면 혼란

생후 3개월까지의 아기는 아직 낮과 밤의 개념이 없어요.
하루 16시간 이상 자면서도 수시로 깨는 건 정상적인 발달 과정 중 하나예요.
특히 밤에 자주 깨는 이유는 배고픔 때문이거나, 아직 생체시계가 자리 잡히지 않아서예요.

이 시기에는 억지로 패턴을 만들려고 하기보단, 낮엔 밝은 환경에서 활동시키고, 밤엔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만들어주는 게 좋아요.
아기가 깨어 있을 때 눕히고 스스로 잠드는 연습을 시도해보는 것도 도움이 돼요.
너무 피곤해서 울기 전에 재우는 타이밍도 중요해요.
“우리 아기는 왜 이럴까”보단 “아직 시간은 필요하구나”라고 생각하면 조금 마음이 편해질 수 있어요.

 

 

2. 💧 4~8개월: 갑자기 밤에 자주 깨는 수면 퇴행 시기

생후 4개월쯤, 갑자기 통잠 자던 아기가 다시 밤에 여러 번 깨기 시작하면 당황스러워요.
이건 많은 부모들이 경험하는 수면 퇴행기예요.
아기 뇌가 급격히 발달하면서 수면 구조가 성인처럼 바뀌고, 이로 인해 수면이 자주 끊기게 되죠.

이 시기에는 수면 루틴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게 가장 중요해요.
예를 들어 매일 같은 시간에 목욕 → 책 읽기 → 자장가 순으로 루틴을 만들어보세요.
아기가 깨더라도 바로 안아 올리기보다, 먼저 조용히 말로 다독이거나 가볍게 등을 두드리는 방식으로 반응해 보세요.
엄마가 옆에 있다는 느낌만으로도 아기는 다시 잠들 수 있어요.

 

3. ☕ 9~15개월: 밤중 수유 습관과 새벽에 너무 일찍 일어나는 아기

이 시기 아기들은 보통 통잠을 잘 수 있지만, 밤마다 수유를 원하거나 새벽에 일찍 깨는 경우가 많아요.
이건 배가 고파서라기보단 ‘습관’인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밤중 수유를 점점 줄이거나, 젖 대신 따뜻한 물을 조금씩 주는 방식으로 서서히 습관을 바꾸는 게 좋아요.
또, 새벽 4~5시에 자주 깬다면 아기가 너무 일찍 자거나 낮잠이 과했던 건 아닌지 체크해보세요.
하루 전체 수면 시간을 기록해보고, 잠자리 시간을 살짝 늦춰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수면 환경이 밝거나 소음이 있으면 새벽 기상이 잦아질 수 있으니, 암막 커튼이나 화이트 노이즈 기기도 적극 활용해보세요.

 

 

4. 🧸 16~24개월: 잠자기 싫어! 자율성이 생기며 나타나는 잠자리 거부

이제 아기가 조금 자라면서, “안 잘래!”라고 말하거나 계속 침대에서 나오는 일이 생기기 시작해요.
이건 아기의 자율성이 자라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수면 문제로 연결되기 쉽기 때문에 조심해야 해요.

이럴 땐 감정적인 반응보단, 일관된 수면 습관을 시각화하는 게 효과적이에요.
예를 들어 ‘오늘 잘한 수면 습관’을 스티커로 붙이는 차트를 만들어보면 아기도 참여의식을 느끼게 돼요.
또 자기 전 1시간은 TV나 스마트폰 등 자극적인 스크린 노출을 줄이는 게 중요해요.
만약 아이가 계속 침대 밖으로 나온다면, 말없이 조용히 침대로 다시 데려가는 행동을 일관성 있게 반복하는 것이 필요해요.
지금은 혼내기보다, 잠이라는 생활 습관을 배워가는 시기라는 걸 잊지 마세요.

 

❓ FAQ

Q1. 수면 교육은 꼭 해야 하나요?
모든 아기에게 수면 교육이 필요한 것은 아니에요.
다만 아기의 수면이 너무 불규칙하거나 부모가 지쳐 있다면, 부드러운 방식의 수면 루틴부터 시도해보는 걸 추천드려요.

Q2. 밤에 자주 깨는 건 언제까지 계속되나요?
보통 6개월 이후부터는 통잠이 가능해지지만, 아이마다 다르기 때문에 너무 조급해하지 않는 게 좋아요.

Q3. 낮잠은 몇 번이 적당한가요?
생후 6개월 전엔 하루 3~4회, 6~12개월은 2회, 이후에는 1회 정도로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에요.
단, 아기마다 필요한 수면 시간이 다를 수 있으니, 무리하게 맞추려고 하지 않아도 돼요.

 

💖 마무리하며

아기 수면 문제는 결코 부모의 잘못이 아니에요.
모든 아이가 겪는 자연스러운 성장의 일부일 뿐이죠.
조금만 더 시선을 달리해서, “왜 이럴까?”보다는 “이 시기에 필요한 게 뭘까?”를 생각해보면 훨씬 가볍게 받아들일 수 있어요.
이 글이 수면 때문에 지친 부모님께 작은 위로와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오늘 밤엔 아기도, 엄마 아빠도 더 편하게 잘 수 있기를 바랄게요. 🌙

 

0~24개월 아기, 잠투정부터 새벽기상까지 수면 문제 대처법